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전원주택/땅이야기] 겨울난방 벽난로와 황토방 이 이렇게 만들어지는구나
도담채주택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3 | 조회 1363 | 2014.11.09 11:53 | 신고

벽난로 황토방 [이화종 선생님의 방식]

말 그대로 구들 온돌방과 벽난로 기능을 합친 것인데, 거실에선 벽난로로 거실 보조난방역활을 하면서, 그 열로 구들방을 데우는 벽난로 구들이다. 전통 구들방보다 함실부위가 커서 축열 기능이 강화되었고, 아궁이 입구가 실내에 있기에 열손실이 거의 없어서 일반 전통구들보다 열 효율이 4-5배이상 크다. 겹구들(2층구들) 방식이기에 열을 오래 유지시킬수 있고, 바닥 습기 문제를 해결할� 있어서 환풍기 없이도 거실에서 연기 걱정 별로 없이 불을 피울수 있다. 거기에 보너스! 아궁이에 조리실을 두어서 복사열을 이용한 오븐 역활까지...

완전 1석 3조이다. 한번의 열로 구들 방도 데피고, 거실 벽난로로 보조 난방도 하고, 오븐으로 조리도 한다. 향유엄마와 나는 그 매력에 푹 빠져서 우리집 지을때 꼭 설치를 하겠다고 결심을 하고, 겨울동안 이화종 선생님 책을 공부하고, 자재들을 준비하고, 기술적으로 지도해줄 분도 섭외를 했다.


 
먼저 구들방 바닥을 좀 더 흙으로 돋았다. 구들방 높이를 거실 높이랑 비슷하게 하려고 깊게 남겨 놓았는데, 막상 설치를 할려니 신재복 형님이 좀 더 땅을 돋는게 낫겠다고 하신다. 아궁이 높이가 너무 낮아 거실에서 불때기가 너무 힘들것 같아서, 적당히 흙으로 바닥을 높여서 방높이를 좀 더 높이고, 아궁이 높이도 높여서 적당히 절충을 했다. 

 



습기 차단을 할 목적으로 흙을 다 채우기 전에 비닐을 깔고 흙을 마저 채웠다.

 



신재복 형님. 이화종 선생님과 함께 명상 수련도 하고 벽난로 구들을 함께 시공 하시는 분인데, 우리집에 오셔서 꼬박 4일을 넘게 당신 일처럼 일을 도와주셨다. 벽난로 아궁이를 설치하고 수직과 수평을 잡는다. 

 



아궁이 뒤로 함실을 적벽돌로 쌓는다. 향유도 한몫 !! 

 



함실을 쌓고 폐차장에서 미리 구해놓은 판스프링으로 뼈대를 삼는다. 

 



1차 고래길(불길)을 적벽돌을 이용해서 쌓는다. 

 



벽돌을 쌓은 후 황토 모르타르로 미장처리한다. 

 



고래길이 전통구들처럼 일직선도 아니고, 꼬불꼬불 미로길인데 환풍기도 없이 연기를 빼어낼수 있다니 참 신기한 일이다.

 



벽난로 아궁이를 시공하는 동안 많은 분들이 오셔도 일도 거들어 주시고, 함께 설치 공부도 했다.

 



황토 모르타르 만드는 방법은 황토와 모래와 물을 1:3:1 비율로 맞추는데, 샘플로 얇게 펴 발라서 말린후 갈라짐이 없으면 그대로 하고, 갈라짐에 따라 모래 비율을 조절한다. 

 



혹시 모를 고래길 청소할일이 생길지 모르니 100미리 PVC관을 묻어 설치한다.

 



1차 고래길을 완성후 1차 구들장을 덮는다. 1차 구들장은 강도를 크게 요하지않아서, 근처 석재공장에 가서 화강암 파본을 주워다가 깔았다.

 



1차 구들장 사이사이를 작은돌과 황토로 새침을 한다.

 



그 위에 흙을 얹으면 1차 구들 완성. 이제 그위에 2차 구들을 설치해야한다.

  



1차 고래길과 똑같이 2차 고래길을 적벽돌로 쌓는다.

 



많은 분들이 와주시고, 도와주셨지만, 역시 가장 큰 관심과 도움을 준 운오형과 준태씨.
두사람 모두 기존 전통 구들도 많이 놓아본 경험도 있고, 일머리를 아는지라 큰 일꾼 역활을 톡톡히 해주었다. 지면을 통해 운오형과 준태씨, 그리고 함께 해주신 모든 분들께 고마운 마음 전한다.

 



겹구들 방식이란 말그대로 구들이 2층이란 뜻이다. 겹구들 방식은 위 추운지방 북방쪽 구들 문화라는데, 아궁이와 함실에서 가열된 열기 중 뜨거운 열은  2층 고래길로, 차가운 공기와 질량이 있는 기체는 1층 고래길로 간단다.뜨거운 열은 2층 구들돌을 데우는데, 1층 구들 공기층이 형성되어  단열 효과가 좋고, 바닥에서 올라오는 습기도 막을수 있는 장점이 있단다.

 



역시 2층 고래길도 황토 미장을 해주고..

 



좌측 사진이 함실 부넘기 구멍이고 우측 사진이 굴뚝 개자리 구멍 사진이다. 함실의 뜨거운 열이 작은 구멍으로 부넘기를 하면서 열기의 이동 속력이 빨라 지면서 부넘기에서의 열기의 압력은 낮아진단다. 바로 여기서 베르누이의 정리가 성립된다. 즉 공기나 유체는 지나가는 길이 넓은 곳에서 좁은곳으로 이동하게 되면 속력이 빨라지고 압력은 낮아진다는 원리이다.

 

        

왼쪽 사진은 구들방 윗목쪽의 아로마실 공간이다. 오른쪽 사진은 함실 아궁이에 구들돌을 올리는 사진이다. 아로마실이란 두한족열, 다리쪽은 따뜻하게, 머리쪽은 시원하게 자라는 이야기인데, 함실 아랫목쪽에 다리를 두면 윗목 머리 쪽에 아로마실을 설치하게 된다.

 
아로마실 옆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할수 있는 파이프를 하나 내고, 아로마실안에 쑥이나 솔잎등을 채워두면 머리쪽으로 외부 시원한 공기가 쑥향, 솔향을 품고 들어오게 된다. 두한족열의 건강원리를 적용한 설치이다.

 

  

2층 구들돌을 올린다. 2층구들돌은 낙동의 인석씨와 조원희님을 통해 미리 얻어놓은 구들장이다.

 



2층 구들돌 사이에 작은돌과 흙으로 새침을 한다.

 



불을 때면서 연기가 새어 나오는 것을 확인하고 계속 돌과 흙으로 새침을 한다.

 



새침작업 !!! 방바닥으로 연기가 나오지 않게 하는 중요한 작업.

 



새침작업이 끝나면 자갈로 방 전면을 골고루 깐다. 자갈은 구들돌과 마찬가지로 축열을 할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황토 모르타르로 바닥 1차 미장을 한다.

 



1차 미장 끝 !!!

 



기념으로 오징어랑 양미리, 고구마를 조리실에 넣어서 구워 먹었다. 바닥에서 올라오는 직접 열이 아닌, 사방에서 나오는 복사열로 조리하는 것이기에 고구마 같은것을 구워먹기엔 타지도 않고 골고루 맛있게 잘 익었다.

 

밥도 되고, 찌개도 된단다. 향유 엄마 신났다. 저녁에 조리실에 요리하는 열 정도로도 방도 데우고, 거실도 데우고...



이 에너지 위기 시대에 최소한의 열로, 버리는 열 하나없이... 에너지 효율 99%
이정도면 자랑해도 되지 않겠습니까?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