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부동산 이야기
추천 Best

베스트 글은 네티즌의 참여(조회순, 찬성/반대)
등이 활발한 글을 모은 자동 목록입니다

더보기
[전원주택/땅이야기] 듀플렉스홈과 로프트하우스의 차이 [2]
버캠님 작성글 전체보기 추천 0 | 조회 1187 | 2015.01.02 17:26 | 신고

  

듀플렉스홈과 로프트하우스의 차이

 

 

듀플렉스(duplex)홈 으로 불리는 연합주택은 단독주택의 쾌적함을 누리면서

땅값ㆍ건축비용을 절반 가까이 줄일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로프트하우스는 공동거실을 배치한 주택으로 땅값과 건축비를 절감할수있는 방식이다.

 

 

로프트나 듀플렉스 방식은 한 필지를 두 사람이 공동으로 구매하고 하나의 설계를 가지고 건물은 하나지만

좌우로 분리되는 2가구 독립 거주 단독주택방식인데, 최근에는 인기에 힘입어 공동구매 형식으로 땅을 사고

똑같은 주택 여러 채를 건설하는 공동 연합 방식의 집 짓기가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더많은 주택정보는 아래 홈페이지에서 보실수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전세계에서 유래 없이 전체 거주유형에서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60%가 넘는

'아파트 중독국가'이지만, 최근 '탈(脫) 아파트' 바람이 거세게 일고 있다.

 

 

 

 

주택공급이 충분해지고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성냥갑 같은 아파트보다는

개성 있는 단독주택에서 살고 싶다는 욕구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로프트하우스'같이 비교적 작은 돈으로 지을 수 있는 실속형 주택이 점점 인기를 끌고있다

 

 

집은 두 가지 형태다. 1층 부엌, 2층 침실, 3층 다락 겸 거실 구조인 일반적인 연합주택의

‘로프트 하우스(공동 거실을 배치한 주택)’이다.

 

 

건축기술 발전으로 난방 등 '단독주택은 관리가 불편하다'는 약점이 보완돼

작은형태의 단독주택을 많이 찾는추세다.

 

 

2억∼3억원으로도 지을 수 있는

다양한 주택건축 기술이 등장하면서 30, 40대 등의 접근성이 높아진 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우리나라 최초로 연합해 지은 로스트하우스이다.

 

 

각종 미디어에서 많은 관심을 보였고 대중들의 반응도 꽤 호의적이다.

 

 

서울 역세권 20~30평대 아파트의 전세금 수준인 3억원으로

필지를 사고 집도 짓고 실내도 예쁘게 꾸밀수있다.

 

 

공동 연합건축 방식은 대단하고 새로운 매력이라기보다는

지난 40여년의 도시개발 과정에서 잃어버렸던 것들이다.

 

 

 

 

작지만 내 아이가 뛰놀 수 있는 마당, 그리고 이웃들과 쉽게 교류할 수 있는 환경이 장점이다. 

 

 

 

 

로프트하우스를 통해 잃어버렸던 옛 가치가 다시 보이기 시작한 것이다.

 

 

기존 전원주택에 과시용으로 쓰이던 넓은 유리창 대신 작은 창문을 사용해 단열효과를 높혔다.

 

 

집은 두 가지 형태다. 1층 부엌, 2층 침실, 3층 다락 겸 거실 구조인 일반적인 듀플렉스 타잎과

‘로프트 하우스(공동 거실을 배치한 주택)’이다.

 

[소형주택 정보 TIP] 소형 이동식목조주택(1동) 시중가격대는 천만원대부터 사천만원대까지 다양합니다.

평당시공가로는 130~250만원대이며 내집마련 계획있으신 분은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상세한 주택정보는 아래 홈페이지에서 보실수있습니다^^

 

  • 글쓴이의 다른글 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