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노후주택! 해결책은?

e분양캐스트 입력 2019.01.02 11:15 수정 2019.01.02 11:16
조회 274추천 0



전국의 760만 가구가 준공 후 20년이 지난 노후주택인 것으로 나타나 재건축이나 리모델링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높아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르면 노후, 불량 건축물은 ‘건축물 일부가 멸실돼 붕괴, 그 밖의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는 건축물’을 의미한다. 그 기준은 서울특별시, 광역시 및 특별자치시, 인구 50만 이상 대도시, 시. 도 조례로 정하고 있고 건물구조나 공동주택인지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20년’을 기준점으로 삼고 있다.


시도별로는 경기도가 136만 5,551가구로 가장 많았으며 서울 121만 9,207가구, 부산 60만 1,598가구, 경남 56만 9,152가구, 경북 55만 7,629가구, 전남 45만 7,089가구, 인천 44만 7,885가구 등의 순이었다. 반면 세종은 1만 6,038가구, 제주 93,378가구 등으로 노후주택 수에 따른 지역별 격차가 큰 편인 것으로 조사됐다.


주택 노후도별로 비중을 살펴보면 20년~30년 미만이 약 30%를 차지해 가장 높았으며 10년~15년 미만과 15년~20년 미만이 각각 15%로 뒤를 이었다. 새 주택에 속하는 5년 미만은 13%로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게 나타났다. 한때 논란이 됐던 재건축 연한의 기준점인 30년 이상 주택 비중도 무려 16%나 됐다.



노후주택 급증, 리모델링 활성화해야


정부는 재건축을 완전히 묶어버렸다. 대안은 리모델링 활성화이지만 이마저도 여의치 않다. 정부는 재건축을 묶어 놓은 후 리모델링 내력벽 철거 허용 여부를 내년 3월 중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노후 주택이 늘어나면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한다. 주차, 층간소음, 노후설비 등 여러 가지 문제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지금처럼 재건축 사업이 막힌 상황에서는 리모델링 활성화가 대안이 될 수 있다.


잇따른 정부 규제로 아파트 재건축이 주춤한 사이 최근 건설사들도 리모델링 시장을 주목하고 있다. 서울•수도권 주요 지역 리모델링 추진 단지들이 속속 안전진단을 통과했다. 그러나 최대 변수는 내력벽 철거 허용 여부다.


내력벽은 건물의 하중을 견디거나 분산하도록 만든 벽체다. 세대 간 내력벽을 철거하고 리모델링을 할 경우 좌우 세대와 합치는 것이 가능해 오래된 2 베이 아파트를 최근 트렌드인 3 베이나 4 베이 아파트로 바꿀 수 있다.



내력벽 철거 없이도 가능한 ‘복층’ 리모델링 활로 찾나


내력벽 철거 허용 여부가 장기화되어 불투명해져 리모델링 추진 단지들의 대안 찾기가 분주하다. 최근 내력벽 철거를 추진해온 단지들은 '복층' 세대에 주목하고 있다고 전해진다.


조합에 따르면 요즘의 추세는 일반적인 복층 세대처럼 위층 층고가 낮은 형식이 아니라, 1가구가 2개의 층을 사용하는 2 층형 아파트가 대세라고 한다. 기존 3개 층 중 2번째 층을 절반으로 나눠 각각 1층과 3층이 사용하는 구조다. 


특히 아파트 최상층은 이런 여유 공간을 가진 경우가 많은데, 이 공간을 살려, '복층'이라는 작은 평면을 기존 아파트에 더하면 공간을 넉넉하게 만들 수도 있다.


업계에서는 내력벽 철거가 어려운 현 상황에 복층형 리모델링 설계가 아파트 리모델링 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주간 인기컨텐츠

    부동산 파워컨텐츠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