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전국 땅값1순위 1㎡당 1억8천? 역시 변하지않는 절대강자

리얼투데이 입력 2019.06.11 09:03 수정 2019.06.11 15:58
조회 75추천 0


올해도 전국에서 가장 비싼 땅값을 자랑하는 곳은 서울 명동으로 확인되었다. 국토교통부가 지난 31일 발표한 2019년 개별공시지가 자료에서 가장 비싼 땅으로 서울 중구 충무로1가의 ‘네이처리퍼블릭 명동월드점’ 부지로 나타났다. 1㎡당 공시지가는 1억8,300만 원으로 2004년 이후 16년 연속 전국 땅값 1위 자리를 고수하는 장소이다.


특히 이번 공시지가 발표에서는 지난해에 비해 훌쩍 뛴 공시가격도 눈길을 끌고 있다. 가장 비싼 땅인 ‘네이처리퍼블릭 명동월드점’은 지난해 개별공시지가가 9,130만원이었지만 올해는 그 보다 100% 상승한 가격으로 발표되었다.


이처럼 올해는 연초부터 정부가 공시가격 현실화를 언급한 만큼 개별공시지가가 작년에 비해 크게 뛰어오른 곳이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 공시지가 상승폭 2배 껑충(12.35%). 세금부담 현실로


지난 31일 공시된 개별공시지가는 전국 평균 8.03% 오르며 이 중 서울은 12.35% 올라 지난해 상승률(6.84%)의 두 배 정도로 껑충 뛰어올랐다.


서울 구별로 공시지가 인상폭을 따지면 서울 명동 일대인 서울 중구가 올해 공시지가가 20.49% 오르며 전국에서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이어 서울 강남구(18.74%), 서울 영등포구(18.20%), 서울 서초구(16.49%) 등의 지가 상승폭이 컸다. 지가가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서 공시지가 상승폭이 더욱 커졌다.


   


오른 이유를 살펴보면 강남은 국제교류복합지구, 영동대로 통합개발, 수서역세권 복합개발의 재료가 있고 성동구에서는 연무장길, 서울숲 상권활성화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수도권 밖에서는 광주(10.98%), 제주(10.70%), 부산(9.75%), 대구(8.82%)의 상승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는 에너지밸리산업단지(남구), 송정상권 활성화, 광주송정역 복합환승센터 시범사업(광산), 도심 정비사업(동구) 등이 상승의 원인이 되었다. 제주는 제2공항 기대감(서귀포), 신화역사공원•영어교육도시 인구유입(서귀포), 화북상업지역 도시개발(제주) 등 유입인구 증가•기반시설 확충의 요인이 있다.


반대로 최저 변동 지역은 울산 동구(-1.11)이고, 전북 군산시(0.15), 경남 창원시 성산구(0.57), 경남 거제시(1.68), 충남 당진시(1.72) 순으로 낮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들 지역의 공통점은 지역 기반산업이 위축되어 경기침체가 있는 곳이라 할 수 있다.


■ 2019년도 개별공시지가 최고․최저 시도별 현황

 

개별공시지가가 끌어올린 세금, 이의신청 많을 듯


먼저 발표된 표준지공시지가와 다른 개별공시지가는 전국 3,300여만 필지의 ㎡당 가격으로 공시하며 주체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시장, 군수, 구청장이다.  


이들은 표준지공시지가를 기준으로 토지가격비준표를 적용해 가격을 산정한 후 시•군•구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심의를 거쳐 개별공시지가를 결정 공시하게 된다. 즉 표준지공시지가가 상승한 가운데에서 개별공시지가를 책정하기 때문에 전년 대비 큰 폭의 상승은 어느 정도 예견된 일이라 할 수 있다.


개별공시지가 결정.공시 절차




한편 공시지가 상승은 납부할 보유세도 함께 오른다는 의미이다. 또 건강보험료 등도 공시지가와 관련 있는 만큼 토지 소유자들의 세금과 준(準)조세 납부액 상승이 예고되고 있다.


개별 공시지가 열람은 5월31일부터 7월1일까지 진행된다. 이 기간 중 이의 신청도 이뤄져 지자체별로 적지 않은 신청이 들어올 것으로 보인다.






주간 인기컨텐츠

    부동산 파워컨텐츠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