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주택시장 추가 상승 멈출까? VS 더 오를까?

카페인커뮤니케이션 입력 2018.02.19 16:44 수정 2018.02.19 16:45
조회 184추천 0

 

 

 

설날 이후로 부동산 주택시장이 어떻게 변화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여기서 가장 궁금증을 유발하는 것은 서울 아파트값의 움직임입니다. 가격이 오를대로 오른만큼 추가로 상승은 멈출 것이라는 이야기와 함께 당분간은 더 오를 수 있다고 전망하는 이야기와 엇갈리고 있습니다.

 

국토부교통부와 서울 시장자치단체에서 대립하고 있는 재건축 관리처분계획 인가를 어떤 방식으로 처리가 될지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값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상승 할 수 있다는 견해도 있지만 전문가들은 끝에 다다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주택시장에서는 오를만큼 올랐다라는 주장이 대부분으로 단기간에 급상승을 보였기 때문에 이제부터는 상승세가 멈출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정부에서 내놓은 부동산 규제대책이 본격적으로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추가로 폭등할 일은 없을 것이라는 주장입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자면 서울 아파트값의 상승 폭이 둔화되었다고 합니다. 지난주 송파구의 주간 아파트 값 상승률은 0.76% -> 0.38%로 낮아졌고, 서초구는 0.45% -> 0.20% 떨어졌습니다.

 

서울 전체 아파트값 상승세에도 1월 중순 이후 점차적으로 빠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재건축초과이익환수 계획을 밝힌 후 재건축 요건 강화를 검토하면서 재건축 단지 위주로 집값의 상승세가 꺾인 것으로 보여집니다.

 

 

전문가들은 부동산 대출 규제에 따라서 추가 상승은 멈출 것으로 보아 거래 감소를 내세우고 있습니다. 지난달부터 주택담보대출과 기존의 대출까지 고려해서 신 총부채상환비율(DTI)이 적용되면서 구매 수요가 많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입니다. 하반기에는 상황능력, 대출 총액을 따질 때 신용대출과 마이너스통장까지 산정하는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도 시행된다고 합니다.

 

 

4월에 시작되는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세 중과 규제도 심리적인 압박으로 작용될 수 있습니다.

 

여기에다가 본격적으로 보유세 강화 논의도 시작되면서 다주택자들이 구입을 하는데 있어서 욕구가 멈출수도 있습니다. 특히나 종합부동산세를 더 많이 물리는 등 세제 개편 내용이 발표되면서 투자 수요들이 잠잠해 질 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반대로 단기간에 집값이 오른 곳은 쉽게 내려가지 않을 수 있겠다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양극화가 심해질수록 비싼 아파트들은 귀한 몸이기 때문에 강남 집값이 쉽게 내려가지는 않을 것이라는 주장입니다.

 

이러한 모습은 주택시장에서도 보이고 있습니다. 보유세 강화, 대출 규제 등 신규로 구매하는 수요자는 감소했지만 양도세 부담에 따른 강남 아파트 매물 감소 현상도 같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양도세 중과 조치가 신규 구입 주택은 물론이고 기존의 주택들까지 적용되기 때문에 매물이 오히려 줄어든 것입니다.

 

 

양도세를 다주택자들에게 많이 물리게 된다면 주택을 처분하기 위해서 매물을 내놓고 그에 따라서 가격도 안정될 것이라는 정부의 생각과는 달리 다른 쪽으로 흘러가고 있는 이른바 '규제의 역설' 입니다.

 

중대형 아파트 거래 가격이 증가하고 가격이 오르고 있다는 것도 같은 이유입니다. 연립주택, 소형 아파트를 처분하고 똑똑한 한채를 갖기 위해서 중대형 아파트를 찾는 수요들이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거래가 가능한 매물이 줄어들면서 매도자 우위 시장이 조성된다면 집값이 쉽게 빠지지 않을 것으로 보아 당분간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상 카페인커뮤니케이션이였습니다.

 

 

 

 

 

 

 

 

주간 인기컨텐츠

    부동산 파워컨텐츠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